제목 | 2025년 2/4분기 기업경기전망(BSI) 조사 보고서 | ||||||||||||||||||||||||||||||||||||||||||||||||||||||||||||||||||||||||||||||||||||||||||||||||||||||||||||||||||||||||||||||||||||||||||||||||||||||||||||||||||||||||||
---|---|---|---|---|---|---|---|---|---|---|---|---|---|---|---|---|---|---|---|---|---|---|---|---|---|---|---|---|---|---|---|---|---|---|---|---|---|---|---|---|---|---|---|---|---|---|---|---|---|---|---|---|---|---|---|---|---|---|---|---|---|---|---|---|---|---|---|---|---|---|---|---|---|---|---|---|---|---|---|---|---|---|---|---|---|---|---|---|---|---|---|---|---|---|---|---|---|---|---|---|---|---|---|---|---|---|---|---|---|---|---|---|---|---|---|---|---|---|---|---|---|---|---|---|---|---|---|---|---|---|---|---|---|---|---|---|---|---|---|---|---|---|---|---|---|---|---|---|---|---|---|---|---|---|---|---|---|---|---|---|---|---|---|---|---|---|---|---|---|---|---|
작성자 | 이동규 | 작성일 | 2025.04.21 | ||||||||||||||||||||||||||||||||||||||||||||||||||||||||||||||||||||||||||||||||||||||||||||||||||||||||||||||||||||||||||||||||||||||||||||||||||||||||||||||||||||||||
첨부파일 | |||||||||||||||||||||||||||||||||||||||||||||||||||||||||||||||||||||||||||||||||||||||||||||||||||||||||||||||||||||||||||||||||||||||||||||||||||||||||||||||||||||||||||
시흥지역의 2/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는 전 분기 대비 4포인트 하락한 ‘78’ ▷ 24년 2분기(102)→24년 3분기(79)→24년 4분기(85)→25년 1분기(82)→25년 2분기(78) ▷ 2/4분기 전망치는 대부분에서 기준치(100) 이하를 기록하며 부정적 전망 ▷ 2/4분기 전망치 중 업종별로 자동차·부품(87.5), 기계장비(82.9) 분야 순으로 높게 기록
□ 시흥상공회의소가 시흥시에 소재한 제조업체 71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2/4분기 BSI(기업경기전망지수) 조사 결과, 2분기 전망치는 ‘78’ 포인트로 전 분기 대비 ‘4’ 포인트 하락, 전년 2분기(102) 대비 ‘24’ 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BSI는 100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100이하는 부정적 전망 수치이다.
< 시흥지역 분기별 BSI 추이 >
< 항목별 시흥지역 BSI 동향 >
< 시흥지역 수출⦁내수기업 BSI 추이 >
□ 수출·내수 기업을 살펴보면, 수출기업(88)의 전망치는 경기 침체와 관세 등의 요인으로 1분기보다 하락한 수치를 보여 주었고 내수기업(79)은 국내외 복합적 리스크로 인한 내수 소비감소로 1분기에 이어 기준치 미만의 하락한 수치를 기록하였다.
< 기업 규모별 시흥지역 BSI 동향 >
□ 기업 규모로 살펴보면, 전망치는 모든 구분에서 기준치(100) 이하를 기록하였고, 2/4분기 실적치 또한 대기업을 제외한 구분에서 기준치(100) 이하를 기록하였다.
< 업종별 시흥지역 BSI 동향 >
□ 업종별 전망은 트럼프 발 관세정책에 대한 우려와 국내외 복합적 리스크로 인해 자동차·부품(87), 기계·장비(82), IT·가전(82) 등 지난 1분기에 이어 소폭 하락한 전망치로 조사되었다.
□ 특히 자동차·부품(87) 등 대미 수출의 비중이 높은 업종에서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와 실적 부진 우려로 2분기 전망치가 1분기 대비 다소 큰 폭의 전망치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 올해 상반기 사업 실적에 가장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대내외 위험 요인으로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42%)’,‘내수 소비 위축(23%)’, ‘고환율 기조 지속(15%)’, ‘트럼프發 관세정책(11%)’,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4%)’, ‘자금조달 및 유동성문제(3%)’, ‘파업 등 노사문제(1%)’, ‘기타(1%)’ 순으로 나타났다.
□ 대미 수출뿐 아니라 대미 수출품에 들어가는 부품·원자재 생산이나, 중국으로의 부품·원자재 수출을 하여 관세 영향권에 포함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간접적인 영향권에 있음(48%)’, ‘미국의 관세와는 무관함(24%)’, ‘직접 영향권에 있음(21%)’, ‘경쟁국에 대한 관세 확대로 반사이익 가능성 있음(7%)’ 순으로 조사되었다.
□ 관세의 영향권 중 어느 경우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는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37%)’,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22%)’, ‘중국 외 멕시코, 캐나다 등에 부품·원자재 수출(19%)’,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10%)’, ‘미국에 완제품 직접 수출(9%)’, ‘기타(3%)’순으로 나타났다.
□ 현재까지 발표된 관세정책들 중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항목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추가 관세 부과(34%)’,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25% 관세 부과(32%)’,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관세 부과 및 최소 면세 혜택 박탈(26%)’,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캐나다,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8%)’순으로 응답하였다.
□ 향후 우리나라에 대한 트럼프 관세정책이 보다 구체화될 경우, 기업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고율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7%)’, ‘간접영향으로 기업 매출 감소(25%)’, ‘미국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24%)’, ‘고객사·유통망과의 계약 조건 악화(12%)’,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7%)’, ‘생산기지 이전 등 추가비용 부담(5%)’ 순으로 나타났다.
□ 향후 보다 구체화될 우리나라에 대한 트럼프 관세에 대비한 대응 수준에 대해서는 ‘원가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 중(62%)’, ‘아직은 동향 모니터링 중(19%)’, ‘현지생산, 시장다각화 등 근본적인 관세회피 대응책 모색 중(16%)’, ‘아직 대응계획 없음(3%)’ 순으로 조사되었다.
|
‒ | 2025년 2/4분기 기업경기전망(BSI) 조사 보고서 |
---|---|
▼ |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 피해 및 애로 조사 |
(우)15073 경기도 시흥시 산기대학로 237 시흥비지니스센터 13층(정왕동)
대표전화 : Tel : 031-501-5700 문의 : shiheung@korcham.net
Copyright (c) 2017 shiheungcc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