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시흥상공회의소

보도자료

공지사항 상세보기
제목 2025년 2/4분기 기업경기전망(BSI) 조사 보고서
작성자 이동규 작성일 2025.04.21
첨부파일

시흥지역의 2/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는 전 분기 대비 4포인트 하락한 ‘78’

242분기(102)243분기(79)244분기(85)251분기(82)252분기(78)

2/4분기 전망치는 대부분에서 기준치(100) 이하를 기록하며 부정적 전망

2/4분기 전망치 중 업종별로 자동차·부품(87.5), 기계장비(82.9) 분야 순으로 높게 기록

 

시흥상공회의소가 시흥시에 소재한 제조업체 71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2/4분기 BSI(기업경기전망지수) 조사 결과, 2분기 전망치는 ‘78’ 포인트로 전 분기 대비 ‘4’ 포인트 하락, 전년 2분기(102) 대비 ‘24’ 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BSI100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100이하는 부정적 전망 수치이다.

 

 

< 시흥지역 분기별 BSI 추이 >

 

 

 

< 항목별 시흥지역 BSI 동향 >

 

항 목

20243/4분기

20244/4분기

20251/4분기

20252/4분기

실적

전망

실적

전망

실적

전망

실적

전망

체감경기

80.3

76.1

83.3

93.2

81.2

85.7

80.3

77.2

매 출 액

85.9

80.3

89.2

101.4

84.5

90.8

83.2

79.5

영업이익

64.8

71.8

78.4

89.2

78.2

84.5

77.5

74.8

 

 

< 시흥지역 수출내수기업 BSI 추이 >

 

수출·내수 기업을 살펴보면, 수출기업(88)의 전망치는 경기 침체와 관세 등의 요인으로 1분기보다 하락한 수치를 보여 주었고 내수기업(79)은 국내외 복합적 리스크로 인한 내수 소비감소로 1분기에 이어 기준치 미만의 하락한 수치를 기록하였다.

 

 

< 기업 규모별 시흥지역 BSI 동향 >

 

항 목

20243/4분기

20244/4분기

20251/4분기

20252/4분기

실적

전망

실적

전망

실적

전망

실적

전망

전 체

79.0

87.3

89.3

93.5

86.5

89.7

84.2

85.6

대 기 업

93.8

86.7

101.9

95.2

101.2

94.8

100.5

88.3

중소기업

83.1

79.7

87.5

97.2

85.7

90.5

82.1

79.5

수출기업

90.9

92.3

109.1

93.5

103.2

91.4

99.6

88.7

내수기업

86.3

84.2

87.3

101.6

84.6

89.3

82.7

79.2

기업 규모로 살펴보면, 전망치는 모든 구분에서 기준치(100) 이하를 기록하였고, 2/4분기 실적치 또한 대기업을 제외한 구분에서 기준치(100) 이하를 기록하였다.

 

 

< 업종별 시흥지역 BSI 동향 >

 

항 목

20243/4분기

20244/4분기

20251/4분기

20252/4분기

실적

전망

실적

전망

실적

전망

실적

전망

자동차·부품

100.0

90.9

94.7

100.0

93.5

98.2

89.8

87.5

철강

78.6

85.7

81.8

80.0

79.4

82.2

77.2

80.6

IT·가전

77.8

83.3

80.0

88.9

77.5

87.9

78.9

82.3

기계·장비

73.7

68.4

70.8

91.7

74.4

83.2

80.6

82.9

기타

91.7

75.0

89.3

92.6

90.2

91.6

84.4

81.1

업종별 전망은 트럼프 발 관세정책에 대한 우려와 국내외 복합적 리스크로 인해 자동차·부품(87), 기계·장비(82), IT·가전(82) 등 지난 1분기에 이어 소폭 하락한 전망치로 조사되었다.

 

특히 자동차·부품(87) 등 대미 수출의 비중이 높은 업종에서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와 실적 부진 우려로 2분기 전망치가 1분기 대비 다소 큰 폭의 전망치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올해 상반기 사업 실적에 가장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대내외 위험 요인으로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42%)’,‘내수 소비 위축(23%)’, ‘고환율 기조 지속(15%)’, ‘트럼프관세정책(11%)’,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4%)’, ‘자금조달 및 유동성문제(3%)’, ‘파업 등 노사문제(1%)’, ‘기타(1%)’ 순으로 나타났다.

 

대미 수출뿐 아니라 대미 수출품에 들어가는 부품·원자재 생산이나, 중국으로의 부품·원자재 수출을 하여 관세 영향권에 포함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간접적인 영향권에 있음(48%)’, ‘미국의 관세와는 무관함(24%)’, ‘직접 영향권에 있음(21%)’, ‘경쟁국에 대한 관세 확대로 반사이익 가능성 있음(7%)’ 순으로 조사되었다.

 

관세의 영향권 중 어느 경우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는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37%)’,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22%)’, ‘중국 외 멕시코, 캐나다 등에 부품·원자재 수출(19%)’,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10%)’, ‘미국에 완제품 직접 수출(9%)’, ‘기타(3%)’순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발표된 관세정책들 중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항목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추가 관세 부과(34%)’,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25% 관세 부과(32%)’,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관세 부과 및 최소 면세 혜택 박탈(26%)’,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캐나다,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8%)’순으로 응답하였다.

 

향후 우리나라에 대한 트럼프 관세정책이 보다 구체화될 경우, 기업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고율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7%)’, ‘간접영향으로 기업 매출 감소(25%)’, ‘미국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24%)’, ‘고객사·유통망과의 계약 조건 악화(12%)’,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7%)’, ‘생산기지 이전 등 추가비용 부담(5%)’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보다 구체화될 우리나라에 대한 트럼프 관세에 대비한 대응 수준에 대해서는 원가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 중(62%)’, ‘아직은 동향 모니터링 중(19%)’, ‘현지생산, 시장다각화 등 근본적인 관세회피 대응책 모색 중(16%)’, ‘아직 대응계획 없음(3%)’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전글, 다음글
2025년 2/4분기 기업경기전망(BSI) 조사 보고서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 피해 및 애로 조사

시흥상공회의소

(우)15073 경기도 시흥시 산기대학로 237 시흥비지니스센터 13층(정왕동)

Copyright (c) 2017 shiheungcci, All Right Reserved.